프리스틱서방정(Pristiq, 성분명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은 가장 확실한 효과와, 비교적 적은 부작용을 가진 약입니다. 제가 가장 자주 처방하는 약이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과 브린텔릭스Brintellix이며, 굉장히 신뢰하는 약 중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은 프리스틱서방정(Pristiq), 데팍신서방정 등의 이름으로 처방되는 약물입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 의해 주요 우울장애(MDD, Major Depressive Disorder) 치료를 위해 2008년에 미국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된 세 번째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이며, 지속 방출형 정제로, 하루에 한 번 투약이 가능합니다.
벤라팍신(Venlafaxine, 이펙사서방정Efexor XR) 같은 경우에는 서방정임에도 하루 2번 분복 투약이 권장됩니다. 또한, 벤라팍신Venlafaxine, 이펙사서방정Efexor XR 같은 경우에는 초기 용량인 37.5mg내지는 75mg가 적정 효과 용량보다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프리스틱서방정(Pristiq, 성분명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은 초기 투약 용량 50mg가 적정 효과 용량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약물 조절에서의 이점이 뚜렷합니다.
데스벤라팍신은 벤라팍신(Venlafaxine, 이펙사Efexor)의 주요 활성 대사체의 합성 형태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에 속합니다. 벤라팍신을 복용할 경우, 복용량의 약 70%가 데스벤라팍신으로 대사되기 때문에 두 약물의 효과는 매우 유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약동학/약력학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약동학(Pharmacokinetics): 약물이 몸에 흡수되고, 분배되며, 대사되고, 배출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약력학(Pharmacodynamics): 약물이 생체 내에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의미합니다.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의 생체이용률은 80%입니다. 단백질과의 결합률은 상대적으로 낮아 30%에 불과합니다. 이것은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이 음식섭취와 관련해서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식사와 상관없이 복용할 수 있습니다.
약물은 주로 간의 CYP2C19과 CYP3A4 효소에 의해 대사되고, CYP2D6 효소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이는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굉장히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평균 제거 반감기(t1/2, terminal half-life)는 대략 11시간이며, 경구 투여 후 최고 혈장 농도에 도달하는 평균 시간(Tmax, time to peak plasma concentrations)은 대략 7.5시간입니다. 약의 45%는 변하지 않은 상태로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서방형 제제로만 출시가 되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물의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심각한 '금단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항우울제 계열의 약 중에서 Efexor(이팩사, 벤라팍신Venlafaxine), Paroxetine파록세틴(팍실, 세로자트)과 함께 가장 금단증상이 흔한 항우울제로, 절대로 복용량을 임의로 조절하거나, 임의로 약을 중단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항우울제 중에서, 약 자체의 부작용보다 '금단증상'이 더 걱정이 되는 거의 유일한 약입니다. 물론, 의사가 처방한대로 약을 하루에 한 번 꾸준히 복용하시면 금단증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약간의 수면 장애, 성기능 장애 등이 있습니다.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아주 낮은 확률이지만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 조증/경조증의로의 전환(manic switching), 경미한 혈압 상승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임신 또는 수유 기간 동안의 안전성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주요 우울장애(MDD, Major Depressive Disorder)에 데해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과 플라시보(위약)를 복용한 환자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관찰된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토(22% 대 10%), 어지러움(13% 대 5%), 과다한 땀(10% 대 4%), 변비(9% 대 4%), 그리고 식욕 감소(5% 대 2%).
같은 SNRI계열의 약물들과 비교하자면, 세로토닌 : 노르에피네프린에 작용하는 비율이 데스벤라팍신 같은 경우는 11 : 1 정도, 심발타(Cymbalta, 듈록세틴Duloxetine)의 경우는 9 : 1 정도이며, 벤라팍신(Venlafaxine, 이펙사Efexor)은 30 : 1 입니다. 다만,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재흡수 억제효과 때문에 단순히 수용체 친화력이 좋다,는 것이 효과나 부작용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완전한 도움을 주지는 않습니다. 고려해야 할 부분들이 많습니다.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은 모노아민산화효소억제제(MonoAmine Oxidase Inhibitor, MAOI) 활동이 거의 없어서, 뇌에서 일어나는 특정 화학 반응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다른 약과 함께 복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줄어듭니다. 또한, 무스카린 수용체와 콜린성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낮아, 구강 건조나 시력 문제, 위장 문제, 멍한 느낌과 같은 일반적인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H1-히스타민성 수용체에 대한 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졸음을 일으키지 않습니다.식욕 증가에 대한 우려도 굉장히 적습니다. 마지막으로, α1-아드레너직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낮아 혈압이나 심장 문제의 위험도 줄입니다. 이런 특성들 덕분에 데스벤라팍신은 다른 약과의 상호작용이 적으면서도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치료에 효과적인 선택지로 여겨집니다.
최근의 논문을 찾아봅시다!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에 2023년 5월에 게재된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duloxetine-controlled, non-inferiority trial of desvenlafaxine succinate extended-releas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라는 제목의 논문입니다.
주요 우울 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환자들에게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과 심발타(Cymbalta, 듈록세틴Duloxetine)의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 8주 동안 HAM-D(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로 우울증의 변화 양상을 관찰했습니다.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에는 162명, 심발타(Cymbalta, 듈록세틴Duloxetine) 그룹에는 181명의 환자가 무작위로 배정되었습니다.
HAMD 총 점수는 8주 동안 점진적이고 꾸준히 감소하였습니다 두 약물 모두 우울증 증상을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적으로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 그룹의 평균 점수 변화는 -15.3, 심발타(Cymbalta, 듈록세틴Duloxetine) 그룹은 -15.9로 나타났습니다. 두 그룹 간의 평균 점수 차이는 0.6이었고, 이는 두 약물 사이에 유의미한 효과 차이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흔하게 발생하는 치료 후 부작용의 발생 빈도에서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은 심발타(Cymbalta, 듈록세틴Duloxetine) 에 비해 구토(27.2% 대 48.8%)와 어지러움(18.0% 대 28.8%)이 적게 발생했습니다.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을 복용한 한 환자에서 조증(Mania, 0.5%)이 발생했습니다. 심발타(Cymbalta, 듈록세틴Duloxetine)를 복용한 환자들 중에서는 다섯 건의 중대한 부작용이 보고되었으며, 그 중 한 명은 십이지장 궤양 출혈이 발생했습니다. 어느 치료 그룹에서도 사망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어느 약물도 100%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치료를 선택할 때는 항상 이러한 부작용과 위험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두 그룹 모두에서 가장 흔한 치료 후 급성 부작용은 구토와 현기증이었으며, 이 논문에서는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이 심발타(Cymbalta, 듈록세틴Duloxetine) 보다 더 유리한 안전한 프로필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른 계열의 항우울제 : 에스시탈로프람(SSRI), 데스벤라팍신(SNRI), 보르티옥세틴(Vortioxetine, 브린
2023년 2월 28일에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저널에 게재된 "Efficacy and Safety of Escitalopram, Desvenlafaxine, and Vortioxetine in the Acute Treatment of Anxious Depression: A Randomized Rater-blinded 6-week Clinical Trial"
shineyoursorrow.tistory.com
[위 링크의 글은 각각 다른 계열의 항우울제인 렉사프로Lexapro(에스시탈로프람Escitalopram), 프리스틱서방정(Pristiq,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 브린텔릭스(Brintellix, 보르티오세틴Vortioxetine)을 비교한 자료입니다. 잘 알려진 렉사프로와 비교해도 효과면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우울제 Vortioxetine(보르티옥세틴, 브린텔릭스)와 Desvenlafaxine(데스벤라팍신, 데팍신서방정)의 효
상대적으로 최신약에 속하는 * 브린텔릭스(Brintellix, 보르티옥세틴Vortioxetine)과, * 기존의 벤라팍신(Venlafaxine, 이팩사Efexor)의 활성산물을 이용한 Desvenlafaxine(데스벤라팍신)과의 비교입니다. 가볍게
shineyoursorrow.tistory.com
[위 링크의 글은 프리스틱서방정(Pristiq,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과 브린텔릭스(Brintellix, 보르티오세틴Vortioxetine)을 비교한 자료입니다. 효과와 부작용 측면에서 브린텔릭스(Brintellix, 보르티오세틴Vortioxetine)이 좀 더 낫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습니다. 논문 한 개의 의견으로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제가브린텔릭스(Brintellix, 보르티오세틴Vortioxetine)와 프리스틱서방정(Pristiq,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유 중에 하나라고 설명드릴 수 있겠습니다.]
효과는 비슷한데 부작용이 적다면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대부분의 항우울제의 효과는 거의 비슷합니다. 어떤 특정 항우울제가 다른 항우울제에 비해 압도적으로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면, 정신과 의사들은 그 약 만을 처방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대체로 '등가용량'을 사용하게 되면 효과는 비슷하지만, 부작용 측면에서의 차이가 커서, 환자에게 맞는 약을 고를 때에는 부작용 측면을 먼저 고려하게 될 때가 많습니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분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이야기하자면, 프리스틱서방정(Pristiq, 성분명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과 심발타(Cymbalta, 듈록세틴Duloxetine)는 모두 우울, 불안 등에 도움이 되는 약물입니다. 어떤 약이 더 나은지에 대한 명확한 대답은 아직 없지만,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나쁘지는 않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물론 약물은 모두 개인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가장 좋은 치료 방법은 본인과 의사와의 상의를 통해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물론 약물 치료 외에도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으니, 여러 가지 옵션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울증은 혼자서 극복하기 어려운 질병이라 다양한 치료 방법과 전문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
Written by JeongRIeul, M.D. Psychiatric Specialist